백엔드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의 설계는 중요하다. 효율적으로 설계하기는 쉽지 않지만 김영한 님의 스프링 강의에서 봤던 엔터티 관계를 떠올리며 만들어봤다. draw.io가 제약이 적은 무료 툴이라 사용했는데 left spacing이 작동하지 않는다. 그래서 엔티티의 필드를 볼 때 가독성이 떨어진다. 김영한 님의 spirng 강의에서 category가 트리 구조라 자신과 관계를 맺는 엔티티였다. 그걸 반영하니 대댓글의 엔티티 관계를 만들 수 있었다. Question에 parent와 child를 둬서 parent는 대댓글의 원 댓글을, child는 대댓글들을 값으로 가질 것이다. Stack은 frontend, backend, design 3 분류 나눌 예정이기 때문에 상속 관계를 써야 한다고 생각했다. 굳이 데..